• 2023. 4. 26.

    by. 지안아범

    반응형

    실업급여란?

    실업급여는 일정 기간 동안 실직한 사람들이 생계를 유지하면서 다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받는 제도입니다. 이러한 목적으로,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합니다.

     

    첫 번째 조건은 고용보험 가입 기간입니다. 실직하기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에 가입한 기간이 최소 180일 이상이어야 실업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이 조건은 일정 기간 동안 고용을 유지한 근로자들이 실업 상태에 놓인 경우에 대한 보호를 제공합니다.

     

    두 번째 조건은 자발적이지 않은 퇴사입니다. 부당한 해고, 권고사직, 정년퇴직 등 자발적인 퇴사가 아닌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이 조건은 불공정한 고용환경에서 노동자들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     

    마지막 조건은 재취업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입니다. 실업급여 수혜자들은 일자리를 찾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합니다. 이를 위해서는 구직활동을 꾸준히 하거나, 교육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노력은 일자리를 찾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.

     

    실업급여 신청방법

    실업급여를 신청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1. 워크넷에서 구직 등록을 합니다.
      • 이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직무나 산업군, 근무지역 등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.
      • 구직 활동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, 구직 활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.
    2.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교육을 이수합니다.
      • 이 교육을 이수하면 실업급여 수급을 위한 자격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.
      • 이 교육을 이수하는 동안 일자리 탐색에 도움이 되는 정보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.
    3.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실업급여를 신청합니다.
      • 이때, 자신이 어떤 종류의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, 어떤 문서들을 제출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, 제출해야 할 서류를 모두 준비해야 합니다.
      • 이 과정에서 고용센터의 상담원과 함께 구직 활동에 대한 조언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.

    실업급여 수령액

    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의 60%를 기준으로 지급됩니다. 그러나, 이에는 상한액과 하한액이 적용됩니다. 상한액은 1일 66,000원으로 결정되어 있으며, 하한액은 퇴직 시 시간당 최저임금의 80% × 8시간(1일 소정근로시간)으로 계산됩니다. 이러한 실업급여는 대개 일정 기간 동안 지급되며, 이 기간은 일반적으로 6개월에서 1년까지입니다. 또한, 다양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연장 지급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조건에는, 취업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경우와 교육훈련을 받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.

     

    실업급여 지급방법

   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매 1~4주마다 (최초 실업인정은 실업신고일로부터 2주 후) 고용센터에 출석하여 실업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재취업활동을 한 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.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로, 취업이나 컴퓨터 활용 능력 등을 고려하여 고용센터에서 온라인 실업인정 대상자로 지정된 경우, [고용보험 홈페이지 → 개인서비스 → 실업급여 신청 →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] 혹은 [고용보험 모바일 앱 → 실업급여 → 실업인정신청]에서 공인인증서를 통해 실업인정일 당일 17:00까지 전송하면, 고용센터 담당자의 실업인정을 통해 구직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매번 고용센터에 출석해 실업상태에서의 재취업활동을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반응형